우리나라의 첫 엑스포 참가는 과연 언제 어디였을까요?
우리나라는 1987년 BIE 회원국에 가입하였고,1893년 시카고 엑스포에 처음 참가하였습니다.
그때 우리나라는 기와집 모형의 한국관을 지어 나전칠기와 방석, 갑옷 등을 전시했습니다.
그리고 2030년에 부산에서 월드엑스포가 개최된다면 제 73회 월드엑스포가 될 것입니다.

부산 2030 월드엑스포 개최 계획
- 개최기간: 2030. 05. 01. ~ 2030. 10. 31. (184일)
- 개최장소: 북항 일원(약 309만㎡)
- 엑스포주제: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항해
- 사업비: 약 4조 8995억원
- 예상수입: 5조 5956억원
- 개최규모: 160여개 국가 참가, 관광객 5,050만명
- 파급효과: 생산유발 43조원, 부가가치유발 18조원, 취업유발 50만명
- 부지 사후활용: 박람회 이후 해당 부지는 복합문화, 비즈니스, 해양산업 연구 개발 지구로 조성하고 해양, 금융, 관광, 전시 등으로 활용할 예정
부산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월드엑스포는 아시아 국가 중 일본(1970년), 중국(2010년) 등에서 이미 개최된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경제산업 상위국가임에도 월드엑스포를 개최하지 못한 유일한 국가입니다.
부산은 아시안게임, 월드컵, APEC 정상회의 등의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시킨 바 있으며, 세계 9위 국제회의 도시로써 글로벌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더불어 세계 5대 항만에 걸맞게 물류/금융네트워크가 구축 되어 있고, ICT신기술까지 융합 연계할 산업역량 또한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라시아 게이트웨이 역할로 국제적으로 편리한 교통 접근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관광자원, 관광인프라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개최 사례로는 어디가 있나요?
1993년 대전에서 개발도상국 최초로 BIE 공인엑스포가 개최되었습니다.
대전 엑스포는 '새로운 도약의 길'을 주제로하여 3개월 간 진행되었습니다.
당시 엑스포 상징물은 한빛탑이었으며 마스코트 꿈돌이는 아직까지 국민이 기억하고 있습니다.
대전엑스포는 인정엑스포였음에도 관람객 14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또다른 국내 개최된 인정엑스포로는 2012년 여수엑스포가 있습니다.
여수엑스포의 주제는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이었으며 3개월 간 개최되었습니다.
상질물은 빅오, 마스코트로는 여니와 수니가 있습니다.
참가국 104개국 10개 국제기구 참가, 총 관람객은 820만명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대전과 여수 엑스포는 인정엑스포였으므로 월드엑스포는 아직 한번도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적이 없습니다.
만약 엑스포 유치에 성공한다면 부산이 우리나라 첫 월드엑스포 개최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2번째로 월드엑스포(등록박람회)를 개최하는 나라 그리고 3대 국제행사(월드컵, 올림픽, 월드엑스포)를 전부 개최한 7번째 나라가 됩니다.
2030 부산 세계박람회 관련 일정

2030년 엑스포 개최지 결정은 4월 현지실사를 거쳐 6월 말 BIE 총회에서 4차 경쟁 프리젠테이션이 이뤄질 예정이며,
최종 선정은 2023년 11월 BIE 총회에서 171개 회원국 투표로 결정될 예정입니다.
'더 나은 삶을 위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부산항축제 일정 및 행사, 접수하기 (0) | 2023.05.19 |
---|---|
[2030 부산 월드엑스포 탐구하기] 2030 월드엑스포 후보국 알아보기 (대한민국/이탈리아/사우디아라비아/우크라이나) (0) | 2023.04.18 |
[2030 부산 월드엑스포 탐구하기] 월드엑스포 유치 절차와 개최 장소 선정 기준 (0) | 2023.04.10 |
[2030 부산 월드엑스포 탐구하기] 엑스포의 종류에 대해서 (등록엑스포vs인정엑스포) (2) | 2023.04.08 |
2023 부산 광안리 불꽃축제 일정, 2030 부산 세계 박람회 유치기원 불꽃쇼 알아보기 (0) | 2023.04.02 |
댓글